Extra Form

한국형 케어푸드 큰 장 열린다

06_forum2_img01-550x265.jpg

 

케어푸드에도 ‘선택할 자유(FREE to CHOOSE)’


코로나 팬데믹(COVID-19 pandemic)은 오히려 식품산업에 ‘선택할 자유’를 제공해준 것은 아닐까? 코로나 발발 3년차는 우리가 현재 목도하듯이 ‘질병과 건강 산업을 부흥(?)시키는 패러독스(paradox)를 낳았다. 현대경영포럼은 농식품부 전한영 식품산업정책관을 모시고 주요 식품업계 CEO(임원)를 초청, 케어푸드 시장 확산과 혁신성장 포럼을 가졌다. 전한영 국장은 “선조들의 슬기로운 생활방식인 식약동원(食藥同原)의 지혜를 살려 한국형 건강관리식품 개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힘주어 강조했고, 참석자들은 “케어푸드 시장의 명석판명한 개념 정립과 함께 제도적 지원을 기대한다”고 제언했다. 한국형 케어푸드 시장 개발을 위해 정책당국자와 업계 인사들이 이른 아침부터 오순도순 모여 주제발표와 함께 토론하면서 ‘화음’을 내는 이 멋진 장면이야말로 한국경제 발전의 원동력이 아닐까?
 

주제 - 케어푸드 시장 확산과 혁신성장 포럼

일정 - 2022년 5월 25일(더플라자 호텔 2층 세븐스퀘어)

좌장

초청인사

전한영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관
정성욱 농심 전무
신영섭 빙그레 상무
서훈교 대상라이프사이언스 대표이사
정승현 오뚜기 전무
권순희 동원F&B 전무
정연현 풍림푸드 대표이사
김국화 롯데푸드 상무

 

케어푸드 포럼 기조말씀:
‘생존을 위한 섭취’보단 ‘가치를 위한 식품’으로

전한영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관: 여러분 반갑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관 전한영 국장입니다. 오늘 이렇게 유익한 자리를 마련해주신 현대경영포럼에 감사드립니다. 아울러 식품산업 발전에 특별한 관심과 애정을 갖고 바쁘신 와중에도 조찬모임에 참석해주신 업계의 CEO 및 임원 분들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잘 아시는 것처럼, 코로나 이후 글로벌 공급망이 붕괴되고 우크라이나 사태가 터지는 등 대외변수에 취약한 식품업계가 많은 고충을 안고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같은 중대한 시기에 새 정부가 출범하면서 대통령께서도 어떠한 위기도 시장원리에 맡겨 풀어나가고 정부와 기업이 협력하면서 ‘선택할 자유’와 ‘혁신성장’을 강조했고, 기업 중심으로 경제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는 말씀에 충분히 공감하고 있으며 따라서 농식품부 역시 식품업계와 많은 소통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오늘의 이 자리도 정부와 산업계 간 정책방향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활발한 의견교환으로 정부와 업계가 공동 발전해 나가는 좋은 기회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케어푸드 시장 확산과 혁신성장이 오늘의 주제입니다. 코로나 이후에 건강에 대한 관심이 급증했고, 케어푸드라는 개념이 큰 의미를 갖게 됐습니다. 우리나라 전통 발효식품인 김치나 고추장 등의 수출량이 늘어나는 것을 보면, 이는 우리에게 기회이며 이 시장이 앞으로 무궁무진한 잠재력을 갖고 발전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케어푸드의 개념을 먼저 살펴보면, 일본이나 미국 등 해외에서는 ‘간편식’에서 확장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아직 그 개념이 명확히 정의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식품의 기준을 정하는 ‘식품공전(Korean Food Code)’에서도 가장 유사한 종류를 보면 특수용도식품이 있지만 이를 직접적으로 연결시키기엔 무리가 있고, 이에 가장 유사하게 산업화가 되고 법적 기준이 정해진 것은 ‘고령친화식품’이 있다고 봅니다. 따라서 가장 먼저 개념적인 부분부터 정리할 필요가 있는데 단순하게 고령친화식품뿐만 아니라 건강관리 측면에서 모든 국민들에게 해당될 수 있는 개념 정립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세계시장으로 눈을 돌려보면 ‘그랜드 뷰 리서치’라는 회사에서 특수의료용식품이라는 명칭으로 시장 규모를 분석해 놓은 자료가 있는데, 이를 보면 2018년 기준 150억 달러의 시장규모였고, 연평균 6.9% 성장하여 2024년 225억 달러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사례를 보면 ‘개호식품(介護食品)’이라는 명칭으로 2014년 기준 380억 엔에서 2024년 728억 엔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독일의 경우는 노인장기요양시설 등에서 제공하는 급식서비스와 재가(在家)노인들에게 개별적으로 식사를 배달해 주는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통계청의 장래 인구추계에 따르면 2025년 65세 이상 비율이 20.3%로 초고령사회에로의 진입이 예상되는 가운데 고령층에 대한 제품들의 필요성과 질병에 대한 관심도 크게 높아진 상황입니다. 또한 예전부터 병으로 가기 전에 식품을 통해 예방하는 선조들의 슬기로운 생활방식인 식약동원(食藥同原)의 연장선으로 케어푸드의 시장이 확산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고령층의 경우, 섭식장애(攝食障碍)는 영양불균형 및 삶의 질 저하의 주요 원인으로 고령자의 건강유지와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케어푸드 산업 육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입니다. 이에 우리 식품기업의 역할이 클 것이며 미래 식품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정부와 업계가 합심하여 급변하는 식품산업에 대응해, 총력을 다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정부는 고령친화식품, 건강기능식품, 메디푸드, 특수용도식품 등 케어푸드 시장의 개념 정립과 육성을 위해 적극 지원하겠습니다. 제도 기반이 마련된 고령친화식품, 기능성식품 분야는 홍보 및 실증사업 지원, 인프라 구축 등을 통해 시장 활성화를 유도하고 장기적으로 복지부-지자체 등과 협업하여 고령친화식품 활용 제고 및 산업적 활성화를 위해 노인돌봄서비스 및 장기요양보험 등과 연계 지원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또한 메디푸드, 특수용도식품 등 유망식품 분야의 연구개발, 제도개선 및 기업지원 등의 성장 인프라 조성도 중요합니다. 기술 경쟁력 제고를 위한 생산 기술기반, 포장·서비스 등 전·후방산업을 포함한 R&D 투자 확대와 우수 식품기술의 산업적 활용 확산을 위해 기술거래 이전 및 중소식품기업 지원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식품산업 동향 및 전망, 트렌드 분석 등 식품기업의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정보제공도 강화할 예정입니다. 고령친화식품에 대한 인지도(認知度) 조사 결과를 보면 “들어 본 적 있다”는 답변이 33.6% 정도로 나타나, 고령친화식품에 대한 인지도 제고 등 저변확대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신문·방송·SNS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이를 홍보하고 정책을 발굴하는 한편, 관심도 및 정책 연관성을 고려한 대상자별 맞춤형 홍보도 적극 추진할 계획입니다.
식품산업의 발전과정을 보면 ‘생존을 위한 섭취’의 개념보단 식품에서 ‘가치를 위한 식품’의 의미가 점점 강화되고 있다고 판단합니다. 케어푸드도 그런 가치에 충분히 부합할 수 있는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실제로 케어푸드 제품을 만들고 시장을 창조하는 여러분들이 현장에서 부딪히는 애로사항과 함께 대책방향을 말씀해주시면 정책수립에 주요 자료로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좋은 말씀 기대합니다.

CARE FOOD_ROUND TABLE

고령친화식품-협소한 개념보다 폭넓은 시장 개념으로

정성욱 농심 전무: 국장님 좋은 말씀 감사드리면서, 저희 농심은 서목태(鼠目太:쥐눈이콩)펩타이드를 활용한 비만예방 제품과 고령친화식품 개발을 위한 식품군별 경도조절, 당뇨환자를 위한 영양설계 및 제형개발의 기술을 진행하고 있지만 아직 케어푸드 시장에 본격적인 진출을 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국장님께서 기조말씀에서 강조하신 것처럼 케어푸드라는 개념을 확대해서 정립해주신다면 업계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고령친화식품으로 한정한다는 것은 시장 자체를 너무 협소하게 생각하는 것이며 젊은 층 및 고령층, 중간 세대 분들의 수요까지 아울러 충족시켜야 하는 상황입니다. 새로운 시장을 만들어 나가고, 기업에서 활발히 진출하기 위해서는 폭넓은 개념의 정립과 법제의 정리가 선행돼야 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아울러 식품기업에서 국민건강보험공단 등의 데이터를 정보보호법에 저촉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활용하고 소싱(sourcing)하여 맞춤형 제품들을 개발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된다면 혁신적인 케어푸드 시장을 만들어 나가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케어푸드 산업 성장을 위한 실질적 제도 보완 필요해

서훈교 대상라이프사이언스 대표이사: 대상라이프사이언스㈜는 1995년부터 시작해 현재 특수의료용도식품, 액티브 시니어식 등 케어푸드 시장에서 활발한 연구개발 및 판매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사 브랜드 ‘뉴케어’는 ‘환자식 국내 판매 1위’를 넘어 전 국민의 ‘균형영양식’ 브랜드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케어푸드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27년간 맞춤형 균형영양식을 공급하며 폭넓게 겪은 현장의 애로사항 3가지를 말씀드립니다.
먼저, 요양시설과 병원 등에서 케어푸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케어푸드의 한정적인 의료수가 적용이 소비자 부담을 키우고 있습니다. 경관투여식을 예로 들면, 제약사 환자식은 의약품으로 분류되어 건강보험을 적용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제품 가격의 20%만 부담하면 됩니다. 반면, 뉴케어와 그린비아 등 식품사의 환자식은 식대로 분류되어 의약품 대비 소비자 부담이 큽니다. 대부분의 요양병원이 수익사업으로 운영되는 현실에서 요양병원 입원환자를 위한 환자식 납품업체는 원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함에도 공급 가격을 올릴 수 없는 상황입니다. 하나의 시장이 확대되고 성장하기 위해서는 여러 회사가 시장에 진입하고 연구개발에 투자해야 합니다. 그러나 이 같은 구조적인 한계로 인한 불가피한 ‘적자’가 다양한 회사들의 시장 참여를 저해해 결과적으로는 소비자가 양질의 케어푸드를 제공받지 못하는 결과를 낳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영양소의 상한치 범위 검토가 필요합니다. 멸균처리 등 제조 공정에서 제품의 영양성분 함량이 부득이하게 증감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고려해서 기능성 영양소를 투입할 때 상한치의 적용 범위를 완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제조 과정의 불가피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인 기준 적용은 소비자들의 과량 섭취를 막는다는 본 제도의 취지와 어긋납니다. 식품 공정 과정의 이해를 바탕으로 건강기능식품 규제가 보완되기를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맞춤형 건강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 유전자 데이터 활용에 큰 제약이 있습니다. 기업이 유전자 데이터를 분석해 정보를 제공하면 소비자는 맞춤형 건강관리는 물론 잠재적인 질병까지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때 고객의 유전자가 지닌 특정 질병의 위험성을 언급하고 맞춤형 정보와 케어푸드 제품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나, 현재는 직접적인 질병 언급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유전자 데이터에 대한 규제가 해소되어 소비자 맞춤형 제품 및 식단을 제공하게 되기를 고대합니다.
 

의료 관련 및 노인 보험 등 품목 추가 지원도

권순희 동원F&B 전무: 케어푸드 개념이 아직 정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지만 저희 동원F&B도 많은 스터디(study)를 지속하고 있는 중입니다. 2020년부터 일반식품의 기능성 표시 부분들이 제도화되면서 29가지 고시형 원료와 개별인정형 원료에 대해서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저희보다 먼저 2015년부터 시작한 일본의 경우에는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 더 많은 상황입니다. 우리나라도 점진적으로 케어푸드가 발전해 나간다면 이런 표기 부분들을 더 확장하여 보다 많은 기능성을 이야기할 수 있는 쪽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합니다. 또한 케어푸드가 장기적으로 지속가능 성장을 하려면 의료 관련 보험이나 노인장기요양보험 등의 부분에 품목 추가를 통한 지원이 필요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등록된 급여품목은 안전용품, 위생용품 등만 포함되어 있는데 요양시 섭취 가능한 케어푸드에 대한 요양보험 적용 확대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이는 실질적으로 케어푸드 시장이 더 활성화되고 확산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06_forum2_img03
 

케어푸드-확장적인 개념 정의 필요하다

김국화 롯데푸드 상무: 케어푸드의 개념 정립부터 시작해야 하겠지만, 아직 업계 경영진 분들의 생각에도 많은 차이가 있는 상황으로, 케어푸드 개념과 시장규모, 타깃이 명확해야 제품을 만들고 확산시킬 수 있다고 봅니다. 케어푸드에 ‘노인’에 관한 이야기를 많이 하는데, 인터뷰를 해보면 나이가 들어서도 젊었을 때 먹었던 것 그대로 맛있게 먹고 싶어 하지만 지금 우리의 고령친화식품이나 케어푸드는 건강기능식품, 죽 등의 형태로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요양원에 계신 분들이 필요한 것이 ‘고령친화식품 1·2·3 단계’일 것이며, 더욱 많은 분들을 위한 케어푸드의 확장적인 개념 정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보험·복지 쪽에서도 일본의 개호식이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정부 차원의 보험제도와 지원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부분들이 우리나라에도 필요하지만 일본의 개호식품과 국내 케어푸드 시장의 다른 점도 또한 함께 인식해야 할 것입니다. 아울러 앞으로 소득 격차도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제도가 계층에 맞고 다양한 방향으로 수립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영양 성분이라는 것은 원료에 따라서 레토르트(retort)를 하고 나면 약간의 변화가 생기는데 이런 부분까지 충분히 고려한 시장 정의의 재정립으로 많은 기업들이 케어푸드에 참여하고 소비자들이 편리하게 활용하길 기대합니다.
 

‘케어푸드’ 큰 틀 안에 고령친화식품 하위 카테고리로

신영섭 빙그레 상무: 지금 정부의 관련 자료들을 보면 아직은 케어푸드가 거의 고령친화식품으로 연결돼 있습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나오는 제품들은 고령자뿐만 아니라 젊은 층, 어린이 등 전 연령대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케어푸드를 고령자용으로 한정짓는다면 시장에서 할 수 있는 일이 적어집니다. 케어푸드를 고령자로 한정하고 제도적으로 지원되지 않는다면 전반적으로 이 비즈니스는 쉽지 않은 사업이 될 것 같으며, 케어푸드라는 큰 틀(framework) 안에 고령친화식품이라는 하나의 식품 카테고리가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고령친화식품은 대체로 경제력이 보다 낮은 요양시설에 계신 분들에게 필요한 상황인데, 집에 계시는 독거노인들은 시중에서 사 먹으려고 해도 가격을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이 되기도 합니다. 제도적으로 시중에서도 요양시설처럼 가격을 다운시켜서 구매할 수 있는 제도가 함께 마련되면 좋겠으며 저소득층을 위한 지원 제도도 필요해 보입니다. 또한 맞춤형의 전 단계로 일반인들을 위한 케어푸드도 필요하다는 생각입니다. 일반인을 위한 균형 영양식 등의 가이드와 다양한 영양성분을 가진 균형식에 대한 기준이 생긴다면 또 하나의 식품 카테고리가 만들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개념의 확장, 정책 지원에 더불어 ‘고령’이라는 단어보단 친숙하고 거부감 없는 명칭의 발굴도 검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일반적 ‘건강인’을 위한 케어식품으로 발전하길

정승현 오뚜기 전무: 앞서 많은 분들이 말씀하신 것처럼 현재 케어푸드에 대한 정의가 모호한 상황입니다. 특수용도식품이나 환자용식품, 영양조제식품, 헬스푸드 등을 포괄한 용어로 보이는데 이런 부분에서도 다시 용어의 재정립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케어푸드 중의 하나라고 볼 수 있는 ‘고령친화식품’의 경우, 2017년 농림축산식품부에서 ‘고령친화식품’에 대한 한국산업표준(KS)을 제정하였고 2019년 식품공전 공통기준에는 ‘고령친화식품’으로 등재되었으며, 농식품부와 해수부에서 ‘고령친화우수식품’ 지정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는 점도, 경도에 한해 1·2·3단계로 나눠졌고 일반 영양성분에 대한 기준이 있는데 영양성분 기준 내용은 다소 미흡한 면이 있습니다. 케어푸드는 질병에 쉽게 노출되어 있는 노인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체적인 인구의 생애주기를 보고 그것에 필요한 영양성분을 분석하여 보강한 케어푸드 제품이 개발되어 일반인을 대상으로도 출시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아무리 좋은 식품을 개발했다고 해도 법적인 제도가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케어푸드를 필요로 하는 소비자에게 홍보하거나 정보를 제공할 수 없습니다. ‘고령자’라는 단어를 싫어하는 소비자들에게 ‘고령자 마크’를 붙여서 판매한다면 좋아하지 않는 경우도 있을 것 같습니다. 따라서 업체에서 적극적으로 홍보할 수 있는 표현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이를 위한 제도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봅니다. 정부 주도하에 민간기업, 학계 등이 모여 수시로 건의하고 홍보할 수 있는 자율협의체가 구성되어 규제를 풀어나가고 산업이 발전되는 방향으로 가면 좋겠습니다.
 

소비자보호 측면에서 확실하고 차별화된 인증도

정연현 풍림푸드 대표이사: 오늘 식품산업정책관님과 국내 굴지의 식품업계 CEO 및 임원 분들을 만나 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풍림푸드는 계란 관련 제품을 생산·판매하고 있으며 계란가공품 3종은 고령친화우수식품으로 지정되기도 했습니다. 케어푸드에 관해 앞서 말씀하신 노인전문 음식이라는 부정적 인식 해소를 위한 홍보와 접근성이 용이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는 의견에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한 가지 말씀드리면, 올해 초 회사에서 전화 한통을 받았습니다. 80세가 넘으신 노모를 모시고 계신 분이었는데, 전혀 식사를 못하지만 오직 저희 계란 푸딩만 하루에 서너 개만 드신다며 좀 부담이 되니 공장가격으로 살 수 있는 방안이 없는지에 관한 문의였습니다. 저도 돌아가신 어머니 생각도 나고 해서 계속 지원을 해드렸습니다. 이런 것을 보며 분명히 우리 사회에 이런 제도적 필요와 의미가 있다는 것을 몸소 느꼈고,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필요한 사항이 아닐까 생각해보았습니다. 학교 급식의 경우에는 친환경 마크가 있으면 혜택이 되는 것처럼 요양원 등 노인 전문 급식업소에서 케어푸드 인증 제품을 사용할 때도 이런 지원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또한 서울의 공공 무료급식소에서 식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덮밥에 계란을 반쪽밖에 올리지 못한다는 기사를 접했는데 이러한 복지정책에도 케어푸드가 연계된다면 사회적으로 많은 공감대가 형성되고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아울러 최근 온라인 마켓을 보면 제대로 인증 받지 않은 업체들이 고령친화제품이라는 말들을 무분별하게 사용하는 행태가 보이기도 합니다. 어떠한 성분과 첨가제가 들어가 있는지 더욱 명확하게 알아야 하는 소비자들을 보호하기 위해서 확실하고 차별화된 검증 및 인증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맺음말씀:
푸드테크를 통한 케어푸드 산업 육성하겠다

전한영 국장: 오늘 이 포럼은 “모든 문제해결의 정답은 현장에 있다”는 말을 실감하는 자리였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정부는 케어푸드 산업이 단순히 제품개발에 머무르지 않고 산업기술 및 사회생활 변화와 함께 나아가야 한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향후 식품에 첨단기술이 접목된 미래형 건강관리식품 시장육성을 위해 장기적으로 푸드테크와 연계하여 식품·영양·유통·인체 등의 집적된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맞춤형 식품의 설계 플랫폼 개발 등 개인 맞춤형 케어푸드 식품산업을 적극 육성해 나갈 계획입니다. 이에 산업계의 건의를 적극 수렴하고 당면한 애로를 함께 해소하여 우리 농식품산업에 사활이 걸린 문제들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대책을 세워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아울러 오늘 여러 고명하신 업계 식품전문가들이 말씀하신 내용들은 식품업계의 케어식품 개발과 시장 활성화에 도움이 되길 기대하며 정부도 여러분의 좋은 의견들을 세심하게 검토하여 산업 활성화 정책에 반영토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 현대경영 The New Management http://www.newmanagement.co.kr/?p=1328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19 [스타뉴스]맥도날드, '88 서울 비-프 버거' 출시! 2022.08.29
18 [연합뉴스]김강립 식약처장, 식용란선별포장업체 방문 file 2021.07.07
17 [이뉴스투데이] 대전식약청, 식용란선별포장업소 현장 방문 file 2021.04.27
16 [이데일리] ㈜풍림푸드, 선천성심장병어린이 200명 후원 기념행사 진행 file 2023.02.08
15 [제품 TV 노출] Olive 밥블레스유 (18년10월11일 방송분) file 2018.10.12
14 [중부매일] 직원 절반 이상 주부…세심한 배려로 '가족친화 기업' 탄생 2018.11.20
13 [충청매일] ㈜풍림푸드 이웃돕기 성금 1천만원 쾌척 file 2023.07.06
12 [충청일보](주)풍림푸드, 진천 학성초에 장학금 지원 협약 file 2022.06.15
11 [충청투데이] 꽃동네학교, 전공과 졸업생 26명 중 17명이 공공기관 및 기업체 취업 2021.04.27
10 [한국경제] 풍림푸드, CU신제품 ‘풍요한아침 푸딩’ 2종 출시 “수제 푸딩 식감 구현” file 2020.07.31
» [현대경영]현대경영포럼 제1회 케어푸드 포럼 file 2022.06.16
8 기준원, 축산물HACCP 우수업체 시상식가져 file 2010.05.07
7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상 수상 (축산물 위생관리시스템 우수업체 지정) file 2010.01.08
6 식품의약품안전처 표창수상 file 2014.03.04
5 이동필 농식품부 장관 방문 (식품업계 우수사례 점검) file 2015.04.07
4 제 30회 오뚜기 합창의밤 초청 file 2014.12.22
3 풍림푸드 고용우수기업 수상 file 2012.11.14
2 풍림푸드 기숙사(풍림관) 준공식 file 2013.06.05
1 하반기 관공서 외 주요업체 방문 2018.10.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